우리는 정말 자유롭게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을까? 인터넷은 정보의 바다라고 불리지만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 검열과 규제가 점점 심해지고 있습니다. 유튜브, 페이스북(메타), 구글, 트위터(X) 같은 빅테크 기업들은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이라는 이름으로 콘텐츠를 삭제하고 알고리즘을 통해 우리가 볼 수 있는 정보와 볼 수 없는 정보를 조정합니다. 그렇다면 빅테크 기업들은 어떻게 우리를 통제할까요? 인터넷 검열 이 가져오는 문제점과 우리가 할 수 있는 대처 방법까지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빅테크 기업들은 어떻게 인터넷 검열 을 할까?
1) 알고리즘 조작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만든다
유튜브, 틱톡, 페이스북 같은 플랫폼에서는 어떤 정보를 접할지를 결정하는 건 알고리즘입니다. 정치적 성향에 따라 추천되는 뉴스가 다를 수도 있고 특정 기업이나 정부에 불리한 정보는 잘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가짜 뉴스나 조작된 정보가 더 많이 확산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내가 원하는 정보를 보는 게 아니라 플랫폼이 보여주고 싶은 정보를 보고 있는 걸 수도 있습니다.😨
2)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표현의 자유 or 검열?
유튜브, 인스타그램, 트위터(X) 같은 플랫폼들은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을 이유로 특정 콘텐츠를 삭제합니다. 어떤 정치적 이슈에서는 한쪽 의견이 삭제되고 어떤 기업에 대한 비판 영상이 이유 없이 삭제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빅테크 기업들은 스스로 우리는 검열이 아니라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우리의 자유로운 표현들을 제한 당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 혐오 발언, 가짜 뉴스 차단 → 사회적으로 필요한 조치일 수 있음
- 그러나 특정 의견만 차단된다면? → 검열 논란 발생
3) 사용자 계정 차단 & Shadowban(섀도우 밴)
인터넷에서 검열은 꼭 삭제로만 이루어지는 게 아닙니다. 내가 열심히 올린 게시물이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다면 플랫폼이 보이지 않는 검열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 계정을 정지시키거나 차단하는 방식 →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X) 등에서 자주 발생
- Shadowban(섀도우 밴) → 콘텐츠를 삭제하지는 않지만 노출을 줄여버림
4) 인터넷 검열 정부와 협력해 정보 차단
일부 국가에서는 정부와 빅테크 기업이 협력하여 인터넷을 통제하기도 합니다. 정부가 공익을 이유로 인터넷 검열 을 강화하는 경우 결국 국민들이 필터링된 정보만 접하게 될 위험이 있습니다.
- 중국 → 구글, 페이스북, 유튜브 자체가 차단됨
- 러시아 → 정부 비판 콘텐츠가 차단되거나 유튜브에서 삭제됨
- 한국도 예외가 아님 → 일부 사이트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를 통해 차단됨
🚨 인터넷 검열 문제점
인터넷은 본래 자유롭게 정보를 공유하는 공간이어야 하지만 현재는 기업과 정부의 검열이 강해지는 추세입니다.
- 표현의 자유 침해 → 특정 의견이 배제될 위험
- 정보 조작 가능성 → 플랫폼이 여론을 조작할 수도 있음
- 일반 사용자들은 검열이 이루어지는지도 모름
🛡️ 우리는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까?
1) 다양한 정보 채널을 활용하기
너무 한 가지 플랫폼만 이용하지 말고 다양한 뉴스, 독립적인 미디어, 해외 사이트 등을 활용해서 정보를 비교해보는 게 중요합니다. 구글 검색만 쓰지 말고 빅테크 기업의 검열과 데이터 추적을 피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검색 엔진(예: DuckDuckGo)도 활용하고 유튜브 외에도 독립적인 뉴스 채널 구독하는 것이 좋습니다.
2) VPN &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사용하기
- VPN 사용 → 특정 국가에서 차단된 정보에 접근 가능
- 트래킹 방지 브라우저 사용 (Brave, Tor 등)
- 광고 차단 확장 프로그램 사용 (uBlock Origin 등)
3) 인터넷 검열 위험성을 인지하고 행동하기
- 이 정보가 왜 사라졌을까? → 삭제된 콘텐츠가 있다면 의심해보기
- 빅테크 기업이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를 조작하는지 공부하기
- 검열을 피할 수 있는 탈중앙화 플랫폼(예: Mastodon, Odysee)에도 관심 가져보기
🌐 인터넷은 정말 자유로운 공간일까?
우리는 인터넷이 자유로운 공간이라고 믿고 있지만 실제로는 빅 테크 기업과 정부가 정보를 통제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알고리즘 조작, 콘텐츠 삭제 & 계정 차단, 보이지 않는 검열 (섀도우 밴), 정부와 기업 간 협력 등의 모든 요소들이 합쳐져 우리가 정말 보고 싶은 정보가 아니라 보여지는 정보만 접하게 되는 상황을 만들고 있습니다. 인터넷 검열이 점점 심해지는 이 시대! 우리는 넘쳐나는 정보의 바닷속에서 어떻게 정보를 찾고 자유로운 표현을 지킬 수 있을지 고민해 봐야 할 때입니다. 🌍